2011. 6. 7. 21:28ㆍReference
문화예술교육 개념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서문
제1장 연구개요
1. 배경
2. 목적
3. 방법
가. 무엇을
나. 왜
다. 어떻게
제2장 문화예술교육의 현실
1.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시대적 요청
2. 현대적 문화예술교육의 발생과 발전
가. 예술교육
나. 문화교육
다. 문화예술교육
3. 문화예술교육의 현장에 대한 평가
가. 전체 통계
나. 장르 및 계층별 분석
다. 전문교육집단 분석
제3장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개념정립의 필요성
1. 개념상의 표준이 필요한 이유
가. 전통과 근대와 탈근대의 병존
나. 문화예술교육을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 창조자, 향유자, 매개자
2. 문화예술교육의 개념에 대한 분석
가. 통상적 관념에 대한 분석
나. 예술교육 현장에서 사용되는 개념에 대한 분석
다. 문화예술교육 개념사전의 필요성
제4장 문화예술교육 개념사전의 편찬 방안
1. 개념사전 편찬 사업과 편찬 정신
가. 개요에 대한 예문 제시
나. 편찬 정신에 대한 예문 제시
2. 개념정립이 필요한 용어들
가. 설문조사가 희망한 용어
나. 유네스코 용어집
다. 추가 검토 용어
3. 집필 요령
가. 뜻풀이의 형식과 체계
나. 뜻풀이의 원칙과 방식
다 편찬 요강에 명시할 내용
4. 문화예술교육 개념사전의 출판에 대하여
제5장 개념사전 편찬을 위한 조직운영 연구
1. 조직운영
2. 일정 및 예산
가. 1차년도 (2010년)
나. 2차년도 (2011년)
3. 일정표 67
제6장 결론 - 문화예술교육 개념정립의 효과
1. 기대 효과
2. 활용 방안
부 록
1. 개념사전 편찬사업 계획서
2. 개념사전 편찬요강 안
3. 연구 및 집필자의 저작권 양도 계약서 서식
4. 국내 학술활동에서 출현한 개념을 파악하기 위한 검토 대상 문헌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