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11)
-
사물놀이 온새미로
사물놀이 온새미로 현대적 감각에 맞는 형태의 공연과 교육을 통해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이들에게 풍요로운 정서함양과 자아실현의 기회를 제공하여, 미래의 사회인재를 양성하고, 현재의 사회인들에게 활력소 역활을 통해 원활한 사회생활을 유지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함에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사물놀이 온새미로는 우리의 전통문화를 일반인들에게 좀 더 쉽게 계승, 보급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문화경쟁시대의 흐름에 맞춰 경쟁력있는 작품이을 통해 문화공연, 예술교육, 해외공연 등의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 전통을 기반으로 한 타악 연주단체입니다. 공연 및 교육 문의Tel 02-6408-5223,4 Fax 02-6008-2422 담당자 : 010-5227-5223홈페이지 : http://www.samulnori.kr..
2014.03.27 -
다올무용단
청평문화예술학교 - 다올무용단 청평문화예술학교(다올무용단)는 우리춤의 올곧은 보존과 계승발전을 통하여 새로움을 창조하고 나아가 우리 춤의 접변확대에 기여학자 노력합니다. 또한 우리 춤이 지닌 멋과 가치의 우수성을 세계에 널리 알리고 세계인이 한국을 만나는 가교역활이 되고자 합니다 공연 및 교육 문의Tel 031-584-8980, Fax 031-584-8983홈페이지 : http://www.cpart.kr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대곡리 337 가평문화예술회관
2014.03.26 -
드림뮤지컬
드림뮤지컬 다양한 무대공연을 통한 노하우와 유니크한 기획 및 연출로 이벤트 성격에 맞춘 특화된 무대연출를 선보입니다. 웨딩축가에 뮤지컬을 접목한 새로운 방식의 축가문화를 선도하고 있으며, 일반인들에게 뮤지컬교육으로 지속적인 문화체험을 통해 드림뮤지컬과의 인연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공연 및 교육 문의Tel 02-2613-8249담당자 : 010-9970-8249홈페이지 : http://www.dreammusical.co.kr서울시 관악구 신림동 1435-2
2014.03.26 -
2014년 문화예술의 새로운 10대 흐름을 말한다
2014년 문화예술의 새로운 10대 흐름을 말한다- 가볍고 편하게 즐기자, ‘스낵 컬처(snack culture)’ 유행 등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진룡, 이하 ‘문체부)는 문화예술인과 업계, 학계, 언론, 홍보 등 분야별 전문가를 대상으로 조사한 ’2014 문화예술 트렌드 분석 및 전망‘을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가볍고 편하게 즐기자, 스낵 컬처(snack culture) 유행’, ‘개인에게 집중하는 TV, 전략적 타기팅’, ‘공유하고 협업하는 생활문화예술’, ‘히스토리가 스토리로, 문화유산의 재발견’, ‘인문학 열풍: 인간의 본질에 대한 재집중’ 등이 내년도 문화예술 분야의 새로운 흐름(trend)으로 분석되었다. □□ 가볍고 편하게 즐기자, 스낵 컬처(snack culture, 짧은 시간에 ..
2014.01.04 -
2012 문화예술정책백서
2012 문화예술정책백서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의 현재는 세계화, 지식정보화, 국제관계의 다원화, 인간중심의 편적 가치 확산 등 문명사적 전환시기로써 우리 사회는 국민경제 불균형의 심화, 디지털 기술 등 고도 기술사회와 인본성과의 괴리, 저출산 고령화 사회로의 급격한 진입, 가치체계와 비문화 변화로 인한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과의 불화, 다인종·다문화 사회에서 소통과 통합의 문제 등에 직면 하고 있다. 대외적으로 한반도 주변의 국제질서는 2008년 시작된 전 세계적인 경기침체 이후 5년 만에 일극(Uni-polar) 및 G20(Multi-polar)체제에서 미국과 중국에 의한 새로운 양극(bi-polar)체제로 바뀌는 급변기에 있었다. 이명박 정부는 이러한 역사적 전환기의 복합적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대한민..
2013.09.06 -
공연예술단체 경쟁력 강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방안
공연예술단체 경쟁력 강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방안(김효정 책임연구원) 1. 연구배경 ○ 글로벌 경제위기와 더불어 전 세계적으로 고용악화로 공연예술시장 역시 같은 문제를 안고 있고 있음 ○ 최근 일부 뮤지컬, 오페라, 연극 공연이 성공을 거두면서 시장 활성화의 가능성이 나타나고 있는 반면 여전히 협소한 공연시장, 높은 공연장 임대료, 프로그램의 질적인 문제, 단체 경영에 대한 전문지식 미비 등을 이유로 공연예술단체가 자생력을 높여 스스로 일자리 시장을 확대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 ○ 특히 K-POP를 중심으로 하는 한류열기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문화예술인의 고용비율은 낮아지고 있어 문화예술인의 안정적 고용을 확대 시키는 것이 보다 절실한 과제임 보고서에 따르면 문화예술직종에 종사하고 있는 취업인력 수는 1,11..
2013.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