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예술문화원

공연예술문화원

  • 공연예술문화원 (102)
    • 문화예술교육 (36)
    • Performance (44)
    • Media Art (1)
    • Reference (20)
  • HOME
  • TAG
  • MEDIA
  • LOCATION
  • GUEST
  • ADMIN
  • WRITE
  • 사물놀이 온새미로
  • 정환진의 젬베와 서아프리카음악
  • 코페니언 클럽
  • 이재화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공연예술문화원

컨텐츠 검색

태그

기업연수 젬베 창작국악 풍물 국악 공연 사물놀이교육 사물놀이 난타교육 난타 상모돌리기 예술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상모 퓨전 교육 판굿 퓨전국악 젬베교육 문화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콘텐츠(1)

  • 콘텐츠산업의 경제적 효과 분석

    콘텐츠산업의 생산유발계수는 1.98, 부가가치유발계수는 0.79로 전산업평균인 1.90, 0.73을 상회하고 있다. 자동차산업의 생산유발계수가 2.5인데 반해 부가가치 유발계수는 0.65로 나타남 반면에 콘텐츠산업은 생산유발계수는 제조업 평균과 자동차산업에 미치지 못하지만 부가가치 유발계수는 이들 산업의 부가가치 유발계수들보다 모두 높음 이를 통해 콘텐츠산업이 부가가치 유발측면에서 효과가 높은 산업임을 알 수 있다 콘텐츠산업의 고용 및 취업유발계수는 각각 11.79, 14.74로 제조업, 전산업보다는 크게 나타남 - 한국경제의 주력산업인 정보통신, 반도체, 자동차, 선박에 비해 고용 및 취업유발계수가 모두 높은 것으로 파악됨. 콘텐츠산업이 고용측면에서 의 파급효과도 높은 산업임을 알 수 있다 세부 콘텐츠..

    2013.05.12
이전
1
다음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