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교육(36)
-
프랑스학교 - 사물놀이 교육
프랑스학교 - 사물놀이 교육 사물놀이는 우리나라의 전통음악임에도 불구하고 외국인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사물놀이는 타악기 연주라는 점에서 외국인들과 공유되기 쉬운 잇점이 있는 것이 사실이나 서양음악을 하는 뮤지션과의 협연 경험상 음악적 기초가 우리의 그것과는 많이 다르다는 것을 느꼈다.사물놀이 교육 뿐만아니라 공연관람에 있어서 그들이 갖지 못한 몰입과 다이나믹이 가장 큰 차이점으로 느껴졌다. 학생을 대상으로 한 사물놀이 교육에서 우리나라 학생과 외국인 학생들은 분명 차이가 있었다.사물놀이 가락 중 외국인들도 쉽게 접할 수 있는 리듬에 있어서는 교육자 입장에서 분명 쉽게 받아들이는 양상을 보였는데, 그들의 음악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박자라 할지라도 보편적이지 않은 리듬은 우리나라 학생을 교육 할때와는..
2012.07.03 -
서아프리카의 전통타악 공연...
서아프리카의 전통타악공연은 나라, 지역마다 조금씩 차이가 나지만 일반적으로 두눈바라고하는 스틱으로 연주하는 큰 북과 우리가 잘 아는 젬베(젬베도 반주젬베와 솔로젬베로 나뉜다.), 쉐이커 역할을 하는 쉐커리등으로 연주가 된다. 밑의 동영상에서 솔로젬베를 하는 연주자는 "Thomas Guei"라는 젬베연주자로 이곳 코트디부아르 출신이고 프랑스,벨기에등 유럽에서 활동한다. 세계최고의 젬베연주자중 한명으로 꼽히며 지난 4월 워크숍과 공연을 위해 이곳을 방문했었다.
2012.06.23 -
아프리카의 전통음악 합주수업
코트디부아르 국립 전통음악원의 전통음악 합주수업...사실 학교수업을 받면서 이친구들 교육수준이 엄청 높다는점에 무척 놀랐다...기본 음악이론에대한 지식부터 서양음악에 대한 이해까지...더 놀라운건 수업시간에 토론하는 모습이다... 교수가 어떤 주제를 던졌을때 자신의 생각을 말하는 모습이 너무나 자연스럽다.. 밑의 동영상처럼 자기가 즐거우면 눈치볼거 없이 그냥 나와서 춤을 추는것 처럼 이친구들에게는 자기생각을 말하고 표현하는게 너무나 자연스러운 모습 이다...그렇지 못한 우리의 사회환경 속에서 살아온 나로써는 너무나도 부럽고 행복해 보이는 모습들이다... 밑의 동영상은 화요일 오후에 있는 합주수업으로 그날그날 즉흥적으로 서로 그룹을 만들어서 아무 악기나 가지고선 정해진 시간에 곡을 만들어서 발표한는 수업이..
2012.06.22 -
젬베교육 - 아프리카의 전통타악수업...^^
서아프리카 젬베교육시간.학교 가운데 큰 망고나무 밑에서 젬베로 이렇게 수업을 받는답니다...^^젬베교육은 우리나라의 연주 수업과는 상당히 수준이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가장 인상적인 것은 젬베를 연주하는 사람이나 옆에서 보는 사람들도 음악을 즐기는 모습이 우리와 다르다는 것이다. 그들보다 아주 잘 산다고 할 수 있는 우리나라. 국가정책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많은 지원을 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연주인 표정과는 사뭇 다르다는 것이 조금 생각해 볼 여지가 있는 것 같다.
2012.06.15 -
젬베교육 초보자들을 위한 젬베 워크숍
코트디부아르 국립 음악원의 젬베교수님을 초청해 워크숍을 진행합니다...아직 경험이 많지 않은 젬베교육자 및 연주자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2012.06.14 -
토요가족 음악한마당
6월 한달 동안 코페니언 클럽 전진용 대표의 재즈 강연이 있습니다. 전진용 대표의 재미있는 해설과 함께 하는 재미있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2012.06.02